보도자료

보도자료 상세보기 - 제목, 작성일, 조회수, 내용, 파일 정보 제공
TTA, 국내 산업계와 함께 6G 표준 선점을 위한 본격 활동 착수
작성일 : 조회 : 409

3GPP, AI시대 신경망인 6G 네트워크 설계 시작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회장 손승현, 이하 TTA)는 6월 9일부터 6월 13일까지 체코 프라하에서 개최된 3GPP 기술총회에서 6G 이동통신 표준의 밑그림인 세부 연구 항목을 승인하고 본격적인 기술 연구에 돌입했다고 밝혔다.


 6G는 단순히 5G에서 진화된 이동통신망 뿐만 아니라, AI 시대의 국가 인프라로 여겨진다. 오늘날  세계가 AI 개발 경쟁에 뛰어들고 있지만, AI는 연결되지 않으면 실시간으로 작동할  없다. 즉, 6G 없는 AI는 클라우드에 갇힌 두뇌에 불과할  있다.


  대용량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달할 초고속 통신망이면서, 수천만 개의 단말과 로봇, 센서, 자동차를 연결할 초연결 구조, 그리고 AI의 판단을 즉각 실행할 초저지연 시스템,  AI의 신경망이 바로 6G네트워크이기 때문이다. 


 3GPP는 AI 신경망이  6G 네트워크를 설계하는 표준화단체로, 이번 기술총회에서는 6G 시스템 아키텍처와 무선접속망 기술에 대한 연구 항목이 정해졌다.


  먼저 6G 시스템을 위한 6G 구조를 정의하고, AI 에이전트 등과 같은 AI 서비스 확산을 위한 네트워크 연동, AI의 핵심인 “데이터” 관리를 위한 프레임워크 연구를 추진한다. 또한 위성통신과의 연결성, 엣지 컴퓨팅  연산 자원 분산 등도 연구 대상이다. 


  특히, 국내 산업계가 6G 핵심 기능으로 제안한 AI 서비스, 데이터 프레임워크, 컴퓨팅 자원 관리, 센싱, 비지상망 연결성 등이 연구 항목에 포함되면서, 6G 초기부터 시장 선점의 유리한 위치를 차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6G 신규 무선접속망은 단독모드(Stand Alone) 기반으로 5G 무선망과 효율적으로 주파수 대역을 공유하도록 하고, AI나 센싱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효과적인 무선 인터페이스 구조와 절차를 연구하기로 합의하였다. 


  주목할 점은, 외부 공격으로부터 보호를 위한 무선 접속망 보안 기술, 에너지 효율 개선 연구, 성능 향상  커버리지 확대를 위한 대규모 다중입출력 안테나 기술  국내 산업계의 핵심 기술이 연구 항목으로 포함된 것이다.


  더욱이 에너지 절감 기술과 AI 기반의 네트워크 자동화 기술은 국내 산업계가 강점을 가지고 있기에 향후 6G 표준 특허 반영의 기회를 마련한 것에  의미가 있다.


 한편, 이번 기술총회에서는 지난 3월 선출된 무선접속망 총회 의장(삼성전자 김윤선 마스터)과 서비스  시스템 총회 부의장(엘지전자 김래영 책임연구원)이 6G 연구 항목을 확정하는 과정에서 복잡한 이해관계를 조율하는  표준 주도국의 면모를 보였다.


 TTA 손승현 회장은 “6G는 AI를 현실로 작동시키는 실시간 실행 플랫폼”이라며, “AI 국가전략의 실현 기반으로서 6G 표준 선점이 필수인 만큼, 국가 R&D와 연계된 표준 활동 지원을 지속 확대하겠다.”고 강조했다.


 자세한 사항은 첨부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