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TTA, 6G 표준화 선도를 위한 글로벌 협력 강화 | |
- 韓․中․日 IMT 표준협력 회의 및 美NGA 공동 워크숍 개최 - □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회장 손승현, 이하 TTA)는 ‘제73차 한·중·일 IMT 표준협력 국제회의*’를 5월 27일부터 28일까지 제주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 2002년부터 한국 TTA, 중국 CCSA, 일본 ARIB 3개 표준기관은 삼성전자, 화웨이, NTT도코모 등 각 국의 주요 이동통신 사업자 및 제조사 전문가들과 함께 이동통신 분야 표준화 협력을 위한 방안을 논의 □ TTA가 개최한 3GPP 6G 워크숍(인천, ‘25년 3월)을 기점으로 6G 후보 기술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 된 가운데, ITU에서는 ’26년 2월 완료 일정으로 6G 후보기술의 핵심목표 지표라 할 수 있는 IMT-2030(6G) 성능 요구사항을 개발하고 있다. ○ ITU는 올해 6월 회의부터 최대 전송 속도, 주파수 효율 등 기존 5G 성능의 개선 목표를 논의하고, 하반기부터 AI, 센싱, 커버리지 확장 등 6G의 차별화된 서비스 구현을 위한 새로운 지표들에 대한 논의를 본격화 할 예정이다. □ 금번 회의에서는 이에 앞서, 한·중·일간 6G 표준화 추진 현황을 공유하고 성능목표에 대한 ITU 공동 기고 등 협력 방안에 대해 구체적으로 검토할 계획이다. ○ 특히, 피지컬 AI 등 실시간 AI 서비스가 보편화될 미래를 대비해, 통신망의 지능화와 통신과 컴퓨팅·센싱 기술과의 결합이 중요한 기술성능으로 부각되고 있으며, 에너지 효율 성능 또한 지속 가능한 시스템 측면에서 더욱 중요하게 고려될 것으로 예상된다. □ 또한 TTA는 6G 포럼(집행위원장, 인하대 장경희 교수)과 공동으로 미국 NGA(Next G Alliance)와의 6G 기술 논의를 위한 공동 워크숍을 5월 28일부터 29일까지 서울 더 플라자 호텔에서 개최한다. ○ 워크숍에서는 양국의 정책 및 규제 논의와 함께, 다가올 AI 대전환 시대에 필수적인 네트워크 구조인 '6G AI-Native Networks' 구축 방안과 이를 기반으로 국민과 산업계가 체감할 수 있는 혁신적인 6G 응용 서비스에 대한 폭넓은 협력 방안을 모색한다. □ TTA 손승현 회장은 “이동통신 기술은 AI 대전환 시대를 선도하는 핵심 인프라로서, 국내 산업 전반의 혁신을 가속화하고 미래 산업을 견인할 성장 동력”이라고 강조하고, ○ “이번 한·중·일 IMT 표준협력회의 및 미국 NGA와의 공동 워크숍 개최를 통해 글로벌 협력을 보다 강화하여 더욱 치열해 지는 기술패권 경쟁 속에서도 6G 기술 표준 강국의 위상을 공고히 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 자세한 사항은 첨부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
파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