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TTA, 국내 산업계와 함께 6G 표준 선점을 위한 본격 활동 착수 | |
3GPP, AI시대 신경망인 6G 네트워크 설계 시작 □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회장 손승현, 이하 TTA)는 6월 9일부터 6월 13일까지 체코 프라하에서 개최된 3GPP 기술총회에서 6G 이동통신 표준의 밑그림인 세부 연구 항목을 승인하고 본격적인 기술 연구에 돌입했다고 밝혔다. □ 6G는 단순히 5G에서 진화된 이동통신망 뿐만 아니라, AI 시대의 국가 인프라로 여겨진다. 오늘날 전 세계가 AI 개발 경쟁에 뛰어들고 있지만, AI는 연결되지 않으면 실시간으로 작동할 수 없다. 즉, 6G 없는 AI는 클라우드에 갇힌 두뇌에 불과할 수 있다. ㅇ 대용량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달할 초고속 통신망이면서, 수천만 개의 단말과 로봇, 센서, 자동차를 연결할 초연결 구조, 그리고 AI의 판단을 즉각 실행할 초저지연 시스템, 즉 AI의 신경망이 바로 6G네트워크이기 때문이다. □ 3GPP는 AI 신경망이 될 6G 네트워크를 설계하는 표준화단체로, 이번 기술총회에서는 6G 시스템 아키텍처와 무선접속망 기술에 대한 연구 항목이 정해졌다. ㅇ 먼저 6G 시스템을 위한 6G 구조를 정의하고, AI 에이전트 등과 같은 AI 서비스 확산을 위한 네트워크 연동, AI의 핵심인 “데이터” 관리를 위한 프레임워크 연구를 추진한다. 또한 위성통신과의 연결성, 엣지 컴퓨팅 등 연산 자원 분산 등도 연구 대상이다. ㅇ 특히, 국내 산업계가 6G 핵심 기능으로 제안한 AI 서비스, 데이터 프레임워크, 컴퓨팅 자원 관리, 센싱, 비지상망 연결성 등이 연구 항목에 포함되면서, 6G 초기부터 시장 선점의 유리한 위치를 차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 6G 신규 무선접속망은 단독모드(Stand Alone) 기반으로 5G 무선망과 효율적으로 주파수 대역을 공유하도록 하고, AI나 센싱 등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효과적인 무선 인터페이스 구조와 절차를 연구하기로 합의하였다. ㅇ 주목할 점은, 외부 공격으로부터 보호를 위한 무선 접속망 보안 기술, 에너지 효율 개선 연구, 성능 향상 및 커버리지 확대를 위한 대규모 다중입출력 안테나 기술 등 국내 산업계의 핵심 기술이 연구 항목으로 포함된 것이다. ㅇ 더욱이 에너지 절감 기술과 AI 기반의 네트워크 자동화 기술은 국내 산업계가 강점을 가지고 있기에 향후 6G 표준 특허 반영의 기회를 마련한 것에 큰 의미가 있다. □ 한편, 이번 기술총회에서는 지난 3월 선출된 무선접속망 총회 의장(삼성전자 김윤선 마스터)과 서비스 및 시스템 총회 부의장(엘지전자 김래영 책임연구원)이 6G 연구 항목을 확정하는 과정에서 복잡한 이해관계를 조율하는 등 표준 주도국의 면모를 보였다. □ TTA 손승현 회장은 “6G는 AI를 현실로 작동시키는 실시간 실행 플랫폼”이라며, “AI 국가전략의 실현 기반으로서 6G 표준 선점이 필수인 만큼, 국가 R&D와 연계된 표준 활동 지원을 지속 확대하겠다.”고 강조했다. ※ 자세한 사항은 첨부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
파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