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보도자료 상세보기 - 제목, 작성일, 조회수, 내용, 파일 정보 제공
2020 ICT 국제표준 마에스트로·국제표준화전문가 합동이슈 발표회 개최
작성일 : 조회 : 4,352

- TTA, 비대면 시대 대비, ICT 국제표준화 성공사례 공유로 AI, 빅데이터, CPS, 양자통신 등 차기공략분야 국제표준화 대응 전략 마련 착수 -


□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회장: 최영해 이하 ‘TTA’)는 코로나 펜데믹 지속에 따른 비대면 산업 등 뉴노멀 시대 추세를 고려하여 국제표준화에서 우리나라의 글로벌 표준 영향력 확대 전략을 위하여  ‘ICT 국제표준 마에스트로(이하 ‘표준 마에스트로’) 및 국제표준화 전문가 합동이슈 발표회’를 온오프라인 병행으로 개최하였다고 밝혔다.

□ 주요결과로,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의 사실표준화주도권을 확보하는 사례가 공개되었다. 일례로 IETF(인터넷분야 사실 표준화기구)에서 웹브라우저의 부하문제해결을 위한 HTTP 2.0, 3.0 표준화, TCP 개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UDP 기반 전송 프로토콜 표준화 추진 과정에서 구글 등 글로벌 빅테크 기업이 연구개발-구현-서비스 확산병행 추진함으로써 사실표준화의 생태계를 조속히 장악하는 방법이 소개되었다. 또한 W3C(모바일 웹플랫폼 사실표준화기구)에서 HTML5표준화시 전문가지원, 실시간 표준 구현을 위한 Living Standard 제도 도입 등이 혁신적인 방안으로 소개되었다. 

□ 또한, 우리나라가 표준화주도권을 확보하여 성공적으로 국제 표준화를 진행하고 있는 사례를 공개하였다. 가상-물리세계 간 인터페이스 표준화를 위한 IEEE2888 표준화 그룹 주도 현황, 국내 업체(삼성, LG, ETRI 등) 주도로 ATSC(북미방송표준화기구)에서의 UHDTV표준화 추진사례·차기 ATSC 표준을 위한 논의사항(VR/AR 적용여부, 새로운 전송방식 도입 여부)· 5G통신망 Data Offloading 용도로 ATSC3.0 사용사례, 5G 융합서비스의 하나로 부상되고있는 스마트철도 분야의 3GPP 및 oneM2M에서의 표준화 주도 사례가 소개되었다.

□ 마지막으로 상기 글로벌 기업들의 사실표준화 대응전략과 우리나라 주도의 표준화 주도사례를 기반으로 차세대 핵심 표준기술 분야(AI, 빅데이터, 양자통신, 개인정보보호 등)에 국제표준화 대응전략을 논의하였다.
 ㅇ 주요 분야로 ① ITU인공지능·빅데이터 표준화 관련하여 AI Governance 모델 구축, 분산화 된 환경에서의 AI 활용 방안과 이를 위한 기반 표준화로써 데이터, 네트워크, AI의 상호작용 표준화 전략 ② ITU퀀텀 표준화 관련하여 장비제조사 중심 유럽표준기술(All in one)이 선점될 경우 기술종속이 불가피하여 우회 전략으로서 개방형 계층구조로의 제안을 통한 기술종속 회피 및 한국 주도의 기술선점 전략 ③ ITU 및 ISO 개인정보보호 표준화 관련하여 인증기준과의 연계, 디지털신원증명 및 FIDO표준화 전략 등을 논의하였다.

□ 우리나라는 국내 기업의 글로벌 진출을 적극 지원하기 위해 국제표준화에 많은 투자를 해왔으며, 정보통신기술(ICT) 분야 세계 최고 표준화기구인 세계전기통신연합(ITU)에서 2020년 기준 세계 3위 수준의 의장단을 확보하는 등 ICT 분야 국제표준화를 주도하고 있다.

 ㅇ 그런 의미에서 금번 개최된 표준 마에스트로 합동 발표회는 국가 무형의 자산을 효과적으로 활용한다는데 큰 의미가 있으며, 세계전기통신연합(ITU), 국제표준화기구(ISO), 국제전기표준회의(IEC) 등 세계 3대 표준화기구 등에서 우리나라 기술 중심의 표준화 추진 및 국내 차세대 표준 전문가 양성을 위한 멘토 역할을 강화하는 목적으로 추진되었다.

□ TTA 최영해 회장은 “비대면 시대과 디지털 뉴딜전략에서의 ICT 표준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국제 표준화 경험이 풍부한 19명의 ‘표준 마에스트로’와 270명의 ‘국제표준화전문가’가 코로나로 인한 비대면 시대의 급속한 도래에 맞추어 우리나라 기술의 국제 표준화 및 차세대 ICT 표준 전문가 양성을 위해 혁신적이고 다양한 역할을 해줄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라고 밝혔다.

□ 본 합동발표회는 정부방역기준에 맞추어 온오프라인 병행으로 진행되었으며 연사로 KT, 삼성, 고려대, 건국대, KAIST, 세종대, 국민대 등 마에스트로가 참여하였고 유럽 및 미국 현지와 연결되어 실시간 생중계되었다. 상기 발표 동영상은 TTA 유투브 채널에서 재시청 가능하다.


※ 자세한 사항은 첨부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