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TTA, CCC 디지털 키 최신 인증 프로그램(WCC 3) 개시 | |
- 스마트 모빌리티 환경 조성과 글로벌 인증 대응 지원 -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회장 손승현, 이하 ‘TTA’)는 CCC(Car Connectivity Consortium)의 차량 디지털 키 최신 기술인 ‘Digital Key WCC(Wireless Capability Configuration)3 인증 프로그램’에 따라, 해당 기술에 대한 시험 서비스를 4월 1일부터 제공한다고 밝혔다. 디지털 키는 스마트폰을 이용해 차량의 잠금 해제 및 시동을 무선으로 제어할 수 있는 기술로, 최근 차량과 스마트폰에 빠르게 적용되고 있으며, 기술 사양은 NFC 기반의 WCC1, BLE(Bluetooth Low Energy)가 추가된 WCC2, 그리고 초광대역(UWB/FiRa) 기술이 적용된 WCC 3로 발전해왔다. 최근 UWB 기술은 차량뿐 아니라 스마트폰, 디지털 도어락 등 다양한 기기에 적용이 확대되고 있으며, WCC 3는 정밀 위치 인식 기능을 통해 스마트폰을 꺼내지 않고도 차량이 사용자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해 자동으로 문을 열고, 실내에서 정확한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등 한층 향상된 편의성과 보안성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TTA는 CCC로부터 End-to-End 상호운용성 시험기관으로 공식 지정받은 국내 유일의 기관으로, 이번 인증 프로그램을 통해 디지털 키가 적용된 차량과 스마트폰에 대해 CCC 인증을 원활히 획득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 TTA 손승현 회장은 “디지털 키는 스마트 모빌리티 시대의 핵심 기술 중 하나로, TTA는 국내 기업들이 보다 효율적으로 국제 인증을 획득하고, 이를 기반으로 글로벌 시장 진출에 박차를 가할 수 있도록 시험 인증 체계를 지속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 CCC (Car Connectivity Consortium) -현대자동차, BMW, 메르세데스, 폭스바겐 등 차량 제조사와 삼성전자, 애플, 구글 등 스마트폰 제조사 등 380여 개 사가 참여하는 글로벌 산업 단체로 디지털 키 기술 규격 및 인증제도를 개발하고 인증프로그램을 운영함 * CCC 디지털 키 -스마트폰과 차량 간 비접촉식 무선통신을 통해 차량의 물리적인 키를 대신하는 기술 -차량 소유자 등록 및 해제, 차량 도어 잠금/해제, 차량 시동 걸기, 원격 키 공유 및 관리 기능을 제공하며,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다양한 사용자 맞춤형 부가서비스(공유 사용자 권한 제한, 발렛파킹 주차원용, 렌터카 서비스 등) 제공이 가능 -WCC(Wireless Capability Configuration): 스마트폰과 차량 간 디지털 키 통신에서 사용하는 무선통신 기술에 따라 구분되며, WCC1은 NFC, WCC2는 BLE, WCC3은 UWB/FiRa 기술까지 적용하였음을 의미함 ※ 자세한 사항은 첨부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
파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