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AI 메타데이터, 양자키 분배망 등 디지털 혁신 및 국민편익과 사회안전 분야 표준화과제 59건 추진 | |
- TTA, 디지털 혁신, 국민편익, 사회안전 분야 등 총 59건 표준화과제 채택 - □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회장 손승현, 이하 TTA)는 3월 27일(수) 제129차 정보통신표준화 운영위원회(이하 ‘운영위원회’라 한다)에서 총 59건의 정보통신표준화과제(표준 개발을 위하여 제안된 과제로, 이하 ‘표준화과제’라 한다)를 채택했다고 밝혔다.
□ 이번 운영위원회에서는 양자통신, 데이터, 인공지능 등 △디지털 혁신기술 분야와 에너지 절감, 전자파 정보 공개, 교통 안전 등 △국민편익 분야 및 불법 드론 위협 대응 등 △사회안전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는 과제들이 채택되었다.
□ 주목할 만한 표준화과제로는 ‘양자키 분배망 연동 – 시험요구사항(NIA, ETRI, PG225)’, ‘사전학습 기반의 인공지능 모델의 학습 데이터 관리를 위한 메타데이터(군산대, KISTI, 지능정보기술포럼)’, ‘디지털 가상환경 경호훈련에서 인공지능 기반의 잠재적 위해자 생성을 위한 학습데이터 구성요소(ETRI)’ 등이 채택되어 디지털 혁신기술 분야의 발전을 촉진할 전망이다. □ 또한, ‘서버 소비전력 절감 및 장애 대응을 위한 지능형 베이스보드 관리 컨트롤러의 동작 구조(한국컴퓨팅산업협회, KETI, 지능형컴퓨팅기술포럼)’, ‘실시간 전자파 강도 측정정보 공개 장치 구성 및 운영 방법(KCA, PG901)’ 및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원격주행 관제시스템의 주행상태 천이방법(LGU+, LG전자, PG1104)’ 등의 표준은 에너지 효율 향상, 전자파 정보 제공 및 교통 안전 등 국민편익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특히, 지난 2023년 12월 제정된 ‘안티드론 시스템 프레임워크(세종대)’ 1부 참조구조와 2부 탐지 시스템 및 요구사항에 이어 2024년에는 3부 식별 시스템, 4부 무력화 시스템, 5부 통합관제 시스템 및 요구사항을 정의하여 불법 드론으로 인한 다양한 사회적 문제와 안보 위협에 대응한다. □ TTA 손승현 회장은 “TTA는 디지털 혁신을 위한 핵심기술 분야뿐만 아니라 국민 삶의 질 향상과 사회안전을 위한 표준 개발에도 힘쓰고 있으며, 이번 표준화과제는 국가 디지털 표준기술 경쟁력 강화와 함께 표준 기반으로 사회 전반의 디지털 혁신을 가속화하는 중요한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 채택된 표준화과제 열람 : https://committee.tta.or.kr/standard/subject.jsp ※ 자세한 사항은 첨부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
파일 |
---|